입력 : 2012.10.22 23:08
- 김대식 KAIST 교수·뇌과학
우리는 왜 고향에 오면 마음이 편해지고, 타국에서 살면 고향이 그리워지는 걸까? 그 이유는 뇌 발달과 연관되어 있다. 뇌는 수천 개의 다른 신경세포들과 '시냅스'라는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는 1000억개의 신경세포로 구성되어 있다. 지능·감성·기억 등 모든 것은 이 100조개의 시냅스로 결정된다. 그러나 이 많은 시냅스의 모든 위치와 구조를 유전적으로 똑같이 물려받기는 불가능하다. 그래서 뇌 발달엔 주변 환경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.
어린아이는 어른과 비슷한 숫자의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지만, 서로 간의 연결성은 완성되지 않은 상태다. 마치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큰 길은 유전적으로 타고나지만, 막상 부산에 도착하면 신경세포는 주변 세포와 무차별로 연결되어 있다. 이 중 적절한 시냅스도 있고, 연결되어서는 안 되는 시냅스도 있다. 그래서 우리는 '결정적 시기'라는 걸 가지고 있다. 오리는 태어난 지 몇 시간, 고양이는 4주에서 8주, 원숭이는 1년, 그리고 인간은 약 10년까지 유지되는 이 결정적 시기에 자주 사용되는 시냅스는 살아남고, 사용되지 않는 시냅스는 사라진다.
- 갓 태어난 오리의‘결정적 시기’에 어미 역할을 해 오리들이 평생 자신을 따르도록 한 콘라드 로렌즈 교수.
결정적 시기의 뇌는 젖은 찰흙같이 주변 환경을 통해 주물러지고, 모양이 바뀔 수 있다. 그 시기가 끝나면 찰흙은 굳어지고 유연성을 잃는다. 그래서 한국 아이가 스웨덴에서 자라면 완벽한 스웨덴어, 러시아 아이가 한국에서 자라면 완벽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, 더 이상 유연하지 않은 시냅스로 가득 찬 어른의 뇌로 외국어를 배우기란 정말 괴롭다. 뇌는 덜 완성된 상태로 태어나, 경험한 주변 상황에 최적화되도록 완성된다. 고향이 편한 건 어릴 적에 경험한 음식·소리·풍경·얼굴이 우리의 뇌를 완성시킨 바로 그 원인이었기 때문이다. 무언가에 최적화되어 있으면 편하다. 선택이 필요 없고 막연히 좋다. 거꾸로 다른 환경에 최적화된 뇌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나에게 당연한 것들이 전혀 당연하거나 편하지 않을 수 있다. 결국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"내 것이 좋기 때문에 남의 것이 나쁘다"가 아니고, "내 것이 나에게 좋은 만큼 다른 것은 다른 사람에게 좋을 수도 있다"는 사실이다.